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름철 몰려드는 '동양 하루살이'와 '러브버그', 올여름 대응책은

by 찬0709 2025. 4. 18.
반응형

여름이 되면 한강변을 뒤덮으며 시민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대표적인 곤충이 있습니다. 바로 동양 하루살이러브버그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유해한 벌레는 아니며, 살충제가 아닌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조절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합니다.


🐛 동양 하루살이, 한강의 새로운 비밀을 드러내다

지난해 여름 한강공원을 점령했던 동양 하루살이.
그들의 생태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진이 직접 한강 수심 깊은 곳까지 들어가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 새로 밝혀진 생태 특성

  • 기존: 한강 가장자리 진흙 수초 부근에 서식
  • 최근: 한강 중앙부, 수심 깊은 곳의 굵은 모래와 자갈 틈이 주요 서식지

💡 방제 전략도 전면 수정!

동양 하루살이는 빛을 향해 날아드는 습성이 있습니다.
기존에는 강변에 조명이 달린 포집기를 설치했지만, 올해부터는 한강 중앙부에 바지선을 띄우고 포집기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바뀔 예정입니다.


🪰 러브버그, 그 정체는?

북한산 인근과 인천 지역 등지에서 대량 발생했던 러브버그는 기존에 남중국, 대만, 오키나와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최근 유전체 분석 결과, 중국 북부 칭다오(산둥반도) 지역 개체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장미꽃 향기로 유인! 러브버그 친환경 포집법

러브버그는 장미과 꽃에서 나는 천연 방향 물질에 강하게 끌리는 특성이 있습니다.

  • ✅ 장미에서 휘발되는 향기 성분 = 유인 물질로 사용 가능
  • ✅ 이미 음료나 화장품에 사용되는 안전한 천연 성분

🌿 살충제 NO! 친환경 방제 YES!

동양 하루살이와 러브버그는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 곤충입니다.
따라서 살충제로 제거하는 것은 생태계를 해칠 수 있는 부적절한 방식입니다.

✔️ 조명 포집기
✔️ 천연 유인제
✔️ 서식지 생태 이해 기반의 방제 전략

➡️ 지속 가능하고 안전한 친환경 대응 방식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 함께하는 기관

  • 국립생물자원관
  • 서울시
  • 연구기관 및 생태 전문가 그룹

이들의 협력으로 도심 속 자연과 공존하는 방제 전략이 탄생했습니다.
올여름, 시민 불편을 줄이고 생태계도 지키는 새로운 실험이 시작됩니다.

반응형